티스토리 뷰
목차
전기기능사를 따고 나면 다음 단계로 많이 고민하는 자격증이 바로 전기산업기사입니다. 하지만 산업기사는 기능사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전공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막막하게 느껴지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산업기사와 기능사의 차이점부터 응시 조건, 시험 구성, 합격전략, 실기 팁, 취업 분야까지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기능사와 산업기사의 주요 차이점
전기산업기사는 전기기능사보다 상위 등급의 자격증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항목 | 전기 기능사 | 전기 산업기사 |
자격 등급 | 기능직 (초급) | 기술직 (중급) |
응시 자격 | 제한 없음 | 학력·경력 필요 |
시험 과목 | 3과목 | 5과목 |
실기 유형 | 작업형 | 복합형 (작업+필답) |
활용도 | 시설관리, 유지보수 | 복합형 (작업+필답) |
※ 산업기사는 단순한 기능직이 아니라 ‘기술직’으로 분류되어 국가기관, 공공기관, 전력업체 등에서 채용 시 더 높은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응시 자격 요건
전기산업기사는 누구나 응시할 수 있는 기능사와 달리 아래와 같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 관련 학과 전문대학 졸업(2년제 이상)
- 전기기능사 자격 소지 + 1년 이상 실무 경력
- 관련 분야 2년 이상 실무 경력
- 학점은행제 전기 관련 전공 106학점 이상 이수
관련 학과는 전기, 전자, 메카트로닉스, 제어계측 등이며, 큐넷 홈페이지에서 자가진단 기능을 통해 자신의 응시 가능 여부를 사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 구성과 공부 전략
필기시험은 5과목 100문항으로 구성되며,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다음은 필기 과목과 주요 포인트입니다.
- 전기이론 – 회로법칙, 전압·전류 계산, 교류이론
- 전기기기 – 변압기, 유도기, 직류기 작동원리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법령 기반 규정 암기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 조명, 전열, 계측기 등 응용기술
- 전자공학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연산 증폭기
전기응용 및 판단기준 과목은 법령 기반이므로 문제은행 유형 암기만 잘해도 고득점을 노릴 수 있습니다. 가장 난이도 높은 과목은 전기이론과 전자공학으로, 꾸준한 문제풀이가 필수입니다.
실기시험 구성
실기시험은 복합형으로, 필답형(이론) + 작업형(도면 및 배선)으로 진행됩니다. 최근에는 필답 비중이 증가하면서 이론 공부도 병행해야 합니다.
필답형: 서술식 20~30문제 (용어 정의, 계산식 등)
작업형: 도면에 따라 배선 시공 수행 (전기 배관, 단자 연결 등)
실기 준비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필답 기출문제 풀이 (이론 암기와 계산문제 연습)
- 작업형 도면 반복 연습 (관배선, 스위치·콘센트 시공)
- 실기 실습장 활용 또는 온라인 실습 키트 구입
- 작업 시간 안배 훈련: 3시간 내 완성 훈련 반복
실기시험은 1점 차이로 떨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반드시 모의작업을 실제 시험처럼 반복 수행해야 안정적인 합격이 가능합니다.
전기산업기사 진출 분야
- 중소기업 및 전기공사업체 설계 보조 또는 감리 보조
- 공기업 기술직 (한전, 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등)
-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500kW 이하 저압설비 가능)
-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 가산점 획득
- 전기기사 자격시험 응시 요건 충족
전기산업기사는 자격만 있어도 공공기관에서 서류 통과 확률이 높아지고, 안전관리 선임을 조건으로 한 계약직 채용도 가능합니다. 또한 전기기사로의 진입 단계로서도 활용도 높은 자격입니다.
마무리
실기시험이 복합형으로 바뀌면서 필답 공부가 중요해졌고, 작업형은 꾸준한 도면 연습과 시간 안배 훈련이 핵심입니다. 2025년에도 공공기관 및 중견기업의 채용에 있어 우대되는 자격인 만큼, 확실한 전략을 세워 도전할 가치가 충분합니다.
전기산업기사는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요구하는 기술직 중간 단계 자격증입니다. 기능사보다 높은 난이도지만, 학력·경력 조건만 갖추면 누구나 도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