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재산세 납부 시 현금이 부담된다면? 신용카드 납부를 고려해 보세요. 일시불뿐 아니라 무이자 할부, 포인트 차감, 캐시백까지 받을 수 있어 실속 있게 재산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카드 납부는 수수료, 제한 조건도 따르므로 꼼꼼한 비교가 필요합니다.
카드납부 시 수수료와 혜택
재산세를 카드로 납부할 경우, 편리함은 크지만 수수료와 혜택 여부가 가장 큰 고민입니다. 카드납부 수수료는 일반적으로 납부금액의 0.8~1.0% 수준이며, 납세자가 부담합니다. 단, 일부 카드사는 무이자 할부나 포인트 차감 서비스를 제공해 실질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수수료 부담 : 납부 금액의 약 0.8 ~ 1.0% (카드사. 지자체별 상이)
- 무이자 할부 : 2 ~ 6개월 무이자 제공 카드사 있음
- 포인트 납부 : 보유 포인트로 일부 또는 전액 납부 가능
- 캐시백 : 이벤트 시 일정 금액 환급
2025 주요 카드사 무이자 할부 혜택
재산세 납부 시즌(6~8월)에 맞춰 각 카드사에서는 무이자 할부 이벤트를 운영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납부창에서 직접 제공되는 정보를 참고하세요.
카드 | 혜택 |
삼성카드 | 2~3개월 무이자 / 6개월 부분 무이자 |
국민카드 | 2~6개월 무이자 / 일부 카드 10개월 부분 무이자 |
신한카드 | 2~3개월 무이자 / ARS 신청 시 추가 적용 |
현대카드 | 2~3개월 무이자 / M포인트 사용 가능 |
롯데카드 | 2~5개월 무이자 / L포인트 차감 납부 지원 |
※ 무이자 적용 조건은 개인 신용도나 카드사 정책에 따라 다르며, 납부사이트에서는 카드별 조건이 자동 안내됩니다.
포인트 납부 가능한 카드사 정리
재산세 납부 시, 카드 포인트로 일부 금액을 차감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포인트 사용 가능 여부는 카드사 정책에 따라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아래 카드사들이 포인트 납부를 지원합니다.
- 신한카드 : 마이신한포인트
- 국민카드 : 포인트리
- 현대카드 : M포인트 (전환 납부형)
- 삼성카드 : 삼성카드 포인트
- 롯데카드 : L.POINT
※ 포인트 납부는 전액 포인트로 처리되지는 않으며, 일부 금액에 한해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납부 전 잔액 확인이 필요합니다.
캐시백 이벤트 및 카드 납부 팁
- 카드사 이벤트 확인: 재산세 납부 시즌엔 카드사별 캐시백 이벤트 운영
- 납부 금액 한도 확인: 고액 납부 시 카드 승인 한도 미리 확인 필수
- 연회비 혜택 여부 체크: 일부 프리미엄 카드 연회비 혜택으로 수수료 상쇄
- 공공납부 가능 카드인지 확인: 일부 법인카드·선불카드 사용 불가
납부 방법: 어디서 어떻게 결제하나?
카드 납부는 아래 경로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에서 카드사별 수수료·혜택 정보도 제공됩니다.
- 위택스(Wetax) : www.wetax.go.kr
- 이택스(서울 전용) : etax.seoul.go.kr
- 지방세입계좌 납부 : 은행 앱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지방세입계좌’ 선택
- ARS 카드 납부 : 지자체별 안내 번호 활용, 본인 인증 후 납부
※ 납부 후에는 문자 안내 또는 전자영수증 확인이 가능하니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카드 납부하면 영수증은 어떻게 받나요?
→ 위택스 또는 카드사에서 전자영수증 발급 가능
Q. 연납 또는 분할납부 시에도 카드 사용 가능?
→ 가능, 일부 사이트에서는 회차별 자동이체 설정 필요
Q. 법인카드로도 납부 가능?
→ 일부 지자체는 법인카드 제한 있음. 사전 확인 필요
Q. 포인트와 현금 병행 납부 가능?
→ 일부 카드사는 포인트+카드 복합 납부 지원